본문 바로가기
✍ 따뜻한 개발 공부

[깃허브] 소스트리 이용하여 깃허브에 푸쉬/풀 해보기

by 따따시 2022. 11. 14.

 

*소스트리란?

깃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 (워드 파일을 편집할 때 MS office 를 사용하는 것처럼)

 

 

* 깃에서 ‘커밋'이란?

파일 저장 버튼을 누르면 현재 상태의 파일이 저장되는 것처럼, 현재 프로젝트의 상태를 저장할 수 있는데 정확히는 스냅샷, 즉 사진을 찰칵 찍는 것처럼 현재 프로젝트의 전체 상태를 포착하는 것




> 내가 만든 프로젝트를 깃프로젝트로 만들기

  1. 소스트리 실행
  2.  
  3. 내가 만들었던 프로젝트 열기 하면 .git이라는 폴더가 자동으로 생김

( .git 폴더 안보이면 command+shift+ . ) 누르면 보임

🥸 .git이 된 생기는 이유는 뭐여?

.git

이라고 폴더가 생기면 ‘어 나 깃프로젝트됏어!’ 라는 의미 (깃 속성이 생긴 것)

 

 

+)  만약, 깃 때문에 문제가 나는것 같으면?

 

.git  폴더만 삭제해주면 됌

 


깃허브(원격 Repo)에 push 해주기

<해주어야할 작업>

1. 커밋 (현재 내가 저장할 코드를 찰칵! 캡쳐한다고 생각하기)

2. 푸쉬 (실제로 깃허브에 밀어넣어주는 작업)

 

 

 

 

1. 먼저 커밋을 눌러주기 (=스테이징)

나는 현재 새롭게 추가되거나, 수정한 파일이 없어서 아무것도 안뜨는 것

 

2. 설정 - 원격 - 추가 - 깃허브 의 https 주소 붙여넣기 

 

깃허브의 HTTPS 복사하기
소스트리내에서 깃허브에 연결하는 방법

 

** 푸쉬할 때 처음부터 에러가 난다면? 아래 링크 참조 👇👇

 

 

3. 푸쉬 버튼 클릭










푸쉬 성공

 

 


🥸   풀 하는 방법?

정말 소스트리에서 풀 버튼 누르고, 확인만 누르면 되서 순서나열 안해도 될듯

 


 

아래는 내가 수업들으면서 정리한 내 필기

 

 

  1. 버전관리를 한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프로젝트가 계속 업데이트가 되는데 업데이트되는 프로젝트가 어디가 업데이트가 되었었는지를 계속 기록하면서 관리하는 것

  1. 작업내역 단위인 commit 에는 어떤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야 잘 버전관리를 할 수 있을까?

누가 수정했고, 어떤 내용을 수정했고, 언제 수정했는지

  1. 지금까지 우리가 실습은 어떤 순서로 했었지?

먼저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프로젝트를 git 프로젝트로 만들고(로컬 저장소 생성?) 정상적으로 깃프로젝트가 소스트리에 생성이 됐으면, 더블클릭해서 업데이트를 했다면 스테이징된 애를 커밋해주고, 히스토리에 가서 지금까지 커밋되었던 기록들을 쭉 확인하는 작업을 했다.

파일을 추가하면 추가한 파일도 커밋할 수 있었음


정답)

  • 버전관리를 한다는 것은 프로젝트 상태가 변경되는 정보를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Git 은 commit 을 사용해서 버전이 달라지는 것을 관리합니다.
  • 컴퓨터에 있는 프로젝트를 Git 이 관리하는 프로젝트로 만들 수 있습니다. 앞으로 Git 으로 관리할꺼야! 하고 설정해주면 됩니다. 이 작업을 **git 초기화(git initialize)**한다고 표현합니다.
  • 현재 프로젝트의 상태를 찰칵 📸 저장하는 것을 commit 이라고 합니다.
  • commit 에는 아래를 포함합니다.
  • commit 에 반영할지 안할지는 파일 단위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commit 에 반영할 파일을 선택하는 것을 add (혹은 staging, 스테이징) 이라고 합니다.
  • commit 한 기록은 history 로 볼 수 있습니다.
  • 지금까지 우리가 한 작업은 'git 초기화하기(initialize) - add(staging) - commit' 입니다.

 

로컬 Repo와 원격 repo를 연결하는걸 ‘트래킹'이라고 한다

정확히는 branch traking 이라고 함

로컬 리포지토리는 내가 어떤 원격 repo와 연결되어있는지 알고 있지만, 원격 repo는 내가 어떤 로컬 repo와 연결되어있는지 모른다.

항상 로컬 리포지토리를 기준으로 동작을 이해하기

 


댓글